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인으로 알림마당 공지사항

게시물 내용

2019 찾아가는 미디어 교육 참여기관 추가모집 및 찾아가는 사진관 모집 공고

재단법인 화성시문화재단 공고 제2019-283

2019 찾아가는 미디어 교육 참여기관 추가모집 및 찾아가는 사진관 모집 공고

화성시미디어센터가 진행하는 2019 찾아가는 미디어 교육 및 찾아가는 사진관의 참여기관을 다음과 같이 모집합니다.

20190801

화성시문화재단 대표이사

. 찾아가는 미디어 교육

 1. 사업소개

  · 화성 내 기관·단체·학교·동아리 등이 제안하여 기획되는 미디어 교육 지원사업

  · 교육 수요자가 미디어 프로그램의 주제, 커리큘럼 등을 제안

  · 센터는 프로그램에 적합한 강사 인력과 공간·시설·장비 등을 지원

 

 2. 지원내용

  · 미디어 강사

  · 미디어 장비

  · 센터 교육 공간 및 시설(필요시)

  · 교육 커리큘럼 컨설팅(필요시)

 

 3. 지원대상

  · 화성시 소재 기관·단체·학교·동아리 등

 

 4. 지원 신청 방법

  · 신청기간 : 8~11

  ※ 12월 첫째 주까지 진행하며, 매월 15일 접수 마감 및 심사

  ※ 예산 소진으로 인한 사업 마감시, 미디어센터 홈페이지(media.hcf.or.kr)에 게시

  · 제출서류 : 지원신청서 1, 개인정보 동의서 1

  ※ 화성시미디어센터 홈페이지(media.hcf.or.kr) 첨부양식 이용

  · 제출방법 : 신청서 이메일 접수 (E-mail : tu6542@hcf.or.kr)

  ※ 신청 기관당 1개 강좌, 8차시(1차시 : 2시간)까지 신청가능

  ※ 강좌당 5명이상 수강생 구성시 교육지원 가능

 

 5. 심사 및 선정

  · 심사방법 : 서류 평가 / (필요시 인터뷰)

  · 선정우선순위 : 취약계층 신청자 우선 사업 진행

  1) 1순위 : 취약계층(노인, 장애인 등)

  2) 2순위 : 성인(19세 이상) 및 동아리

  3) 3순위 : 어린이 및 청소년

  · 선정 규모 : O개 기관

  · 심사 기준 :

  1) 교육 대상에 대한 공익 실현성(형식요건 평가)

  2) 신청기관의 프로그램 개설에 대한 적극성(정성평가)

  3) 프로그램 운영 효율성(정량평가)

 

  · 예외사항 및 기타

  1) 정치, 상업, 종교() 기관이나 프로그램은 지원하지 않을 수 있음

  2) 화성시 및 화성시 산하기관의 요청에 의한 강좌 개설시, 별도 협의를 거쳐 교육 강좌를 지원할 수 있음

  3) 동일 기관에서 복수의 프로그램 신청시, 먼저 접수된 프로그램을 우선 선정

 

  · 심사 및 사업진행과정 :

  공고 이메일 접수

  서류심사(최대 3) 결과공지

  커리큘럼 및 일정 협의 사업 진행

 

 6. 지원 신청 가능 강좌 분류표(강좌 예시)

분야

강좌명

강좌내용

교보재

비고

영상

왕초보 스마트폰 추억일기장

시니어 대상 스마트폰 활용교육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스마트폰 입문

스마트폰 기초 활용교육

개인 스마트폰

 

청소년SNS리포터

SNS활용 영상제작교육

노트북, 카메라, 거짓말탐지기 등

 

미디어와 스토리텔링

미디어 글쓰기와 스토리텔링 교육과정

 

 

가족 미디어 콘텐츠 만들기

가족이 함께 뉴스제작의 전반적인 과정을 진행

거짓말탐지기, 카메라

 

가족 뮤직비디오

가족의 모습을 그림과 영상으로 만들기

카메라

 

전연령 미디어콘텐츠 제작

나만의 100초 자기소개 영상 만들기

거짓말탐지기, 카메라

 

스톱모션영상 만들기

스톱모션 어플리케이션 활용 제작

모션스톱 앱, 클레이

1

체험

스마트폰 개인 UCC만들기

스마트폰 활용을 통한 UCC제작과정

스마트폰

 

웹미

디어

내일은 웹툰왕

만화애니메이션 창작교육

색연필

 

그려보자 웹툰과 영상

웹툰 및 영상창작 활용 통합미디어교육

PPT

 

프리미어 영상편집 기초

프리미어 프로그램 활용 편집기초교육

필기구

 

포토샵기초부터 GTQ자격증까지

포토샵 활용교육 및 자격증 취득과정

컴퓨터, 교재

 

뉴미

디어

뉴미디어와 4차산업

뉴미디어 장비 활용교육

재료비,교재비,스마트폰, 녹음장비

1

체험

1인미디어교실

1인미디어 제작교육

, 카메라,PC

 

1인방송 크리에이터 기초

성인대상 1인크리에이터 기초교육

스마트폰

 

미디어아트와 1인방송

예술작품을 통한 1인방송 입문교육

스마트폰

 

코딩

주니어코딩

스크래치와 센서로봇 활용 코딩교육

컴퓨터, usb

 

엄마가 배우는 코딩기초

성인대상 코딩 기초교육

컴퓨터, usb

 

센서보드로 만드는 게임

엔트리를 사용하여 게임을 만들어보는 프로그래밍 과정

컴퓨터, usb

 

코딩체험

스크래치를 활용한 교육용 프로그래밍 과정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진

사진작가론 및 패러디 촬영

작가의 사진 패러디 촬영교육

DSLR,

 

DSLR 나도사진가

디지털카메라 입문 사진교육

DSLR, 미러리스

 

내 사진속에 저장

경험과 놀이 위주의 사진교육

스마트폰

 

종이카메라 만들기

카메라 옵스큐라를 이해하기 위한 종이카메라 제작

스마트폰, 종이카메라키트

1

체험

청사진체험

청사진 제작을 통해 빛에 대해 배우는 과정

아크릴판,시아노타입 종이

1

체험

아나운서처럼 말하고 행동하기

매력적인 목소리를 위한 스피치교육

자체교재

 

더빙

나도 애니스타

애니메이션 더빙을 통한 성우직업체험

대본 및 방송장비

1

체험

IT

ITQ엑셀 자격증과정

엑셀 활용교육 및 자격증취득과정

제본교재: 5000

, 컴퓨터

 

음향

유튜브 동영상 제작

음원과 영상을 활용한 영상제작과정

교재, PC

 

마음으로 쓰는 소리편지

편지내용을 녹음하여 음악을 입혀 소리편지 만들기

탁자, 멀티탭

1

체험

  ※ 세부적인 내용과 커리큘럼은 기관과 센터의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 문의 : 화성시문화재단 미디어사업팀 윤종원(TEL : 031-8003-6474).


. 찾아가는 사진관

 1. 사업소개

  · 자화상 사진 촬영 체험 프로그램 운영

  · 사진 스튜디오 부스 현장 설치 및 체험 운영 인력 제공

  ·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사업을 진행하는 기관 우선 사업 진행

 

 2. 지원내용

  · 자화상 사진 체험 프로그램 지원

  · 사진 인화 서비스 지원(프로그램 진행 후 후반작업 진행 및 전달)

  ※본 사업에 콘텐츠 결과물은 활용 동의를 통해 센터 내 결과물 발표회의 이용 될 수 있습니다.

 

 3. 지원대상

  · 화성시 소재 기관·단체 등

 

 4. 지원 신청방법

  · 신청기간 : 8~11

  ※ 12월 첫째 주까지 진행하며, 매월 15일 접수 마감 및 심사

  ※ 예산 소진으로 인한 사업 마감시, 미디어센터 홈페이지(media.hcf.or.kr)에 게시

  · 제출서류 : 지원신청서 1, 개인정보 동의서 1, 콘텐츠 활용 동의서 1

  ※ 화성시미디어센터 홈페이지(media.hcf.or.kr) 첨부양식 이용

  · 제출방법 : 신청서 이메일 접수 (E-mail : tu6542@hcf.or.kr)

 

 5. 심사 및 선정

  · 심사방법 : 서류 평가 / (필요시 인터뷰)

  · 선정우선순위 :

  1) 1순위 : 취약계층(노인, 장애인 등) 대상 사업 기관

  2) 2순위 : 성인 대상 사업 기관

  3) 3순위 : 어린이 및 청소년 대상 사업 기관

 

  · 선정 규모 : O개 기관

  · 심사 기준 :

  1) 교육 대상에 대한 공익 실현성(형식요건 평가)

  2) 신청기관의 프로그램 개설에 대한 적극성(정성평가)

  3) 프로그램 운영 효율성(정량평가)

 

  · 심사 및 사업진행과정 :

  공고 이메일 접수

  서류심사(최대 3) 결과공지

  커리큘럼 및 일정 협의 사업 진행

 

  끝.

이전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용약관  |  CCTV 운영방침
[18459] 경기도 화성시 노작로 158    대표번호 : 031-8003-6474 / 교육 : 031-8003-6469 / 대관&비디오변환 : 031-8003-6462 / 제작지원: 031-8003-6463

ⓒHWASEONG CITY MEDIA CENTER, All right reserved..